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조르제비치 왕조는 세르비아의 왕가이자 유고슬라비아의 마지막 왕가로, 18세기 말 카라조르제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가문은 세르비아 공국,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통치했으며, 1945년 유고슬라비아가 공화국으로 전환되면서 폐지되었다. 현재 알렉산데르 왕세자가 가문의 수장이며, 왕정 복고를 지지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족이자 정치인으로, 알렉산다르 1세 사후 페타르 2세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섭정으로 통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유고슬라비아 외교 정책 결정에 관여, 삼국 동맹 조약 가입을 추진하다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페타르 2세
페타르 2세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아버지의 암살로 어린 나이에 왕위를 계승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하다 종전 후 폐위되었다. - 유럽의 왕가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유럽의 왕가 - 스포르차가
스포르차 가문은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밀라노 공국을 지배한 이탈리아 귀족 가문으로, 용병대장 무치오 스포르차를 시조로 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하고 유럽 왕족과 혼인 관계를 맺었으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전쟁으로 몰락했다. - 세르비아의 역사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 세르비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성씨 | 카라조르제비치 |
유형 | 왕가 |
고유 명칭 | Династија Карађорђевић |
고유 명칭 (언어) | sr |
문장 | CoAKarageorgevich.jpg |
문장 크기 | 200 |
문장 설명 |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대형 관저 문장 |
국가 |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
칭호 | 세르비아 대지도자 (1804–1813) 세르비아 공 (1842–1858) 세르비아 국왕 (1903–1918)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국왕 (1918–1929) 유고슬라비아 국왕 (1929–1945) |
창시자 | 카라조르제 |
마지막 통치자 | 페타르 2세 |
경칭 | 왕족 전하 |
현재 수장 | 알렉산다르 왕세자 |
창립 연도 | 1804년 |
폐위 | 1945년 |
영지 | 베오그라드 데딘예 왕궁 단지 토폴라 오플레나크 |
로마자 표기법 | Karadjordjevic |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 Карађорђевићи |
발음 (IPA) | karadʑǒːrdʑevitɕ |
복수 | Карађорђевићи |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 Велики Вожд |
문자 뜻 | 대지도자 |
링크 | no |
가문 정보 | |
가문 이름 (일본어) | カラジョルジェヴィッチ家 |
가문 이름 (로마자) | Karađorđević |
가문 이름 (키릴 문자) | Карађорђевићи |
문장 | 150px |
종류 | 왕실 귀족 |
국가 | 세르비아 왕국 (1882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1918년) |
민족 | 세르비아인 (남슬라브인) |
당주 경칭 | 국왕 폐하 |
창설 | 1804년2월 14일 |
멸망 | 1945년11월 29일 (공산당 정권에 의해 왕정 폐지, 유고슬라비아에서 추방) |
가조 | 카라조르제 |
마지막 당주 | 페타르 2세 (왕가로서의 멸망) |
현재 당주 | 알렉산다르 2세 카라조르제비치 (제5대) |
왕가 정보 (한국어) | |
왕가명 | 카라조르제비치 가 |
휘장 | Coat of arms of the Kingdom of Yugoslavia.svg |
작위 | 세르비아의 왕 유고슬라비아의 왕 |
설립일 | 1804년 |
현재 수장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 Карађорђевићи, Karađorđevići |
2. 가문의 기원 및 명칭
영어로는 카라조르제비치(Karageorgevitch)로 표기되기도 하며(예: 보지다르 카라조르제비치 공 및 필립 카라조르제비치 공), 세르비아어 로마자 표기로는 카라조르제비치(Karadjordjevic)로 표기된다. 이 성씨의 기원은 18세기 말에 가문의 창시자인 조르제 페트로비치에게 붙여진 별명 "카라조르제"의 파트로니믹이다.
1796년, 오스만 제국의 비딘 산자크의 반역 총독이자 수블림 포르테의 권위를 거부한 오스만 파즈반토글루는 1793년부터 하지 무스타파 파샤가 통치하던 벨그라드 파샤리크를 침략했다. 압도당한 무스타파 파샤는 침략을 막기 위해 세르비아 민병대를 조직했다. 조르제 페트로비치는 민병대에 합류하여 "볼룩바시"()가 되어 100명의 병사로 구성된 중대를 이끌었다. 세르비아 민병대가 무스타파 파샤 편에 참전한 후, 파즈반토글루는 일련의 패배를 당했다. 그는 비딘으로 후퇴했고, 이후 비딘은 포위되었다. 파즈반토글루와의 전쟁은 페트로비치가 오스만 제국인들의 눈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낸 사건이었으며, 그의 검은 머리카락과 불길한 평판 때문에 "검은 조르제"(; )라는 별명을 받았다.
일부 연구자들에 따르면, 카라조르제의 부계 조상들은 1737년에서 1739년 사이 제2차 대세르비아 이주(Great Serb Migration) 기간 중 샤카벤타(Šakabenta) 총대주교의 지휘 아래 오늘날 몬테네그로에 해당하는 지역의 브르다(Brda, Montenegro) 고지대에서 슈마디야(Šumadija)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는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세르비아인들이 참전한)의 결과였다. 세르비아 역사학에서는 카라조르제의 조상이 바소예비치(Vasojevići) 출신이라는 설이 받아들여졌다.
슈마디야에 도착한 후 가족이 어디에 정착했는지에 대한 추측이 제기되었다. 라도시 류시치(Radoš Ljušić)에 따르면, 카라조르제의 조상들은 아마도 바소예비치 출신일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카라조르제의 조상이나 그들의 출신지에 대한 확실한 역사적 정보는 없으며, 민담이 유일한 실질적인 출처라고 말했다. 카라조르제의 조상들은 아마도 바소예비치(Vasojevići) 출신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리고리예 보조비치(Grigorije Božović, 1880–1945)는 그 가족이 바소예비치 지역의 ''스르블랴치(Srbljaci)''(원주민)였다고 주장했다. ''스르블랴치'' 이론에 기여하는 사실은 그 가족이 1890년까지 성 클레멘트를 자신의 슬라바로 기념했던 반면, 바소예비치, 즉 바소의 후손들의 수호성인은 대천사 미카엘이라는 것이다. 페트르 1세 국왕은 1890년 아내인 조르카 공주의 죽음 이후, 벨그라드 총대주교 미하일로(Mihailo)의 허락을 받아 자신의 슬라바를 성 안드레아로 변경했다. 이는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당시 세르비아 반군이 벨그라드를 해방시킨 날짜를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에 따라 기리는 것이다.
더욱이, 페트르 국왕은 1883년 조르카 공주와의 결혼식에서 바소예비치의 보이보데(Voivode) 밀얀 부코프 베소비치(Miljan Vukov Vešović)를 들러리로 선택했다. 장인이 될 니콜라 왕자가 왜 몬테네그로의 여러 보이보데들 중에서 밀얀을 선택했는지 묻자, 그는 "영웅심과 관계" 때문에 그를 선택했다고 답하면서 그를 "나의 피와 친족인 보이보데"라고 묘사했다. 그의 아들인 알렉산다르는 체티녜(Cetinje)에서 태어나 "몬테네그로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바소예비치(Vasojevići) 부족은 네마니치 왕조(Nemanjić dynasty)의 스테판 콘스탄틴(Stefan Konstantin)을 조상으로 주장한다. 바소예비치 사람들은 카라조르제를 자랑스러워했고 그를 자신의 친척으로 여겼다. 몬테네그로의 정치인이자 바소예비치 출신인 가브로 부코비치(Gavro Vuković)는 이 이론을 지지했다. 따라서,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1806–1885)는 1840년 페트르 2세로부터 "바소예비치의 보이보데" 칭호를 받았다. 다른 이론으로는 몬테네그로의 역사학자 미오미르 다시치(Miomir Dašić)가 카라조르제의 가족은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의 구레시치(Gurešići) 출신이라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민속학자 드라구틴 부코비치(Dragutin Vuković)는 트립코 크네제비치-구리시(Tripko Knežević–Guriš)가 카라조르제의 증조부라고 믿었다. 1907년에 글을 쓴 부키체비치(Vukićević)는 포드고리차 주변에 카라조르제의 조상들이 처음에는 브라냐(Vranj) 출신이라는 지역적 주장이 있다고 말했다.
카라조르제 가문은 바소예비치(Vasojevići) 부족(몬테네그로) 출신이라고 주장했으며, 1730년대 후반이나 1740년대 초에 이주했다. 그 가족은 수바 레카(Suva Reka)의 마치테보(Mačitevo)에 살았으며, 할아버지 요반(Jovan)은 비셰바츠(Viševac)로 이사했고, 요반의 형제 라다크(Radak)는 마모라츠(Mramorac)로 이사했다.
- 카라조르제(조르제 페트로비치)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는 민족주의 운동인 제1차 세르비아 봉기를 이끈 지도자.
2. 1. 가문의 기원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에 따르면, 카라조르제의 부계 조상들은 1737년에서 1739년 사이 제2차 대세르비아 이주 기간 중 오늘날 몬테네그로에 해당하는 지역의 브르다 고지대에서 슈마디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1] 이는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 세르비아인들이 참전한 결과였다.[1] 세르비아 역사학에서는 카라조르제의 조상이 바소예비치(Vasojevići) 출신이라는 설이 받아들여졌다.[5]라도시 류시치에 따르면, 카라조르제의 조상들은 아마도 바소예비치 출신일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그들의 출신지에 대한 확실한 역사적 정보는 없으며 민담이 유일한 실질적인 출처라고 한다.[2][3][4] 그리 고리예 보조비치는 그 가족이 바소예비치 지역의 ''스르블랴치''(원주민)였다고 주장했다.[5] 그 가족이 1890년까지 성 클레멘트를 슬라바로 기념했던 반면, 바소예비치의 수호성인은 대천사 미카엘이라는 점이 ''스르블랴치'' 이론을 뒷받침한다.[6][7] 페트르 1세는 1890년 조르카 공주의 죽음 이후, 벨그라드 총대주교 미하일로의 허락을 받아 자신의 슬라바를 성 안드레아로 변경했는데, 이는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당시 세르비아 반군이 벨그라드를 해방시킨 날짜를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에 따라 기리는 것이다.[6][7]
페트르 1세는 1883년 조르카 공주와의 결혼식에서 바소예비치의 보이보데 밀얀 부코프 베소비치를 들러리로 선택했다.[8] 그의 아들인 알렉산다르는 체티녜(Cetinje)에서 태어나 "몬테네그로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9] 바소예비치(Vasojevići) 부족은 네마니치 왕조(Nemanjić dynasty)의 스테판 콘스탄틴(Stefan Konstantin)을 조상으로 주장하며,[3] 카라조르제를 자신의 친척으로 여겼다.[10] 몬테네그로의 정치인이자 바소예비치 출신인 가브로 부코비치(Gavro Vuković)는 이 이론을 지지했다.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는 1840년 페트르 2세로부터 "바소예비치의 보이보데" 칭호를 받았다.[11] 다른 이론으로는 몬테네그로의 역사학자 미오미르 다시치가 카라조르제의 가족은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의 구레시치 출신이라고 주장했다는 것이다.[5] 민속학자 드라구틴 부코비치는 트립코 크네제비치-구리시가 카라조르제의 증조부라고 믿었다.[5] 부키체비치는 1907년에 포드고리차 주변에 카라조르제의 조상들이 처음에는 브라냐 출신이라는 지역적 주장이 있다고 말했다.[12]
카라조르제 가문은 바소예비치(Vasojevići) 부족 출신이라고 주장했으며, 1730년대 후반이나 1740년대 초에 이주했다. 그 가족은 수바 레카(Suva Reka)의 마치테보(Mačitevo)에 살았으며, 할아버지 요반은 비셰바츠로 이사했고, 요반의 형제 라다크는 마모라츠(Mramorac)로 이사했다.[2][3]
카라조르제(조르제 페트로비치)는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는 민족주의 운동인 제1차 세르비아 봉기를 이끈 지도자이다.
2. 2. 명칭의 유래
영어로는 카라조르제비치(Karageorgevitch)로 표기되기도 하며(예: 보지다르 카라조르제비치 공 및 필립 카라조르제비치 공), 세르비아어 로마자 표기로는 카라조르제비치(Karadjordjevic)로 표기된다. 이 성씨의 기원은 18세기 말에 가문의 창시자인 조르제 페트로비치에게 붙여진 별명 "카라조르제"의 파트로니믹이다.1796년, 오스만 제국의 비딘 산자크의 반역 총독이자 수블림 포르테의 권위를 거부한 오스만 파즈반토글루는 1793년부터 하지 무스타파 파샤가 통치하던 벨그라드 파샤리크를 침략했다. 압도당한 무스타파 파샤는 침략을 막기 위해 세르비아 민병대를 조직했다. 조르제 페트로비치는 민병대에 합류하여 "볼룩바시"()가 되어 100명의 병사로 구성된 중대를 이끌었다. 세르비아 민병대가 무스타파 파샤 편에 참전한 후, 파즈반토글루는 일련의 패배를 당했다. 그는 비딘으로 후퇴했고, 이후 비딘은 포위되었다. 파즈반토글루와의 전쟁은 페트로비치가 오스만 제국인들의 눈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낸 사건이었으며, 그의 검은 머리카락과 불길한 평판 때문에 "검은 조르제"(; )라는 별명을 받았다.
3. 세르비아 및 유고슬라비아 통치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처음에는 세르비아 왕가였고, 그 다음에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가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유고슬라비아 왕가였다. 유고슬라비아 왕가로 불렸을 때 그들이 마지막으로 통치했다.[17]
알렉산다르 왕세자는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정부가 일시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관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영토에서 태어났다. 이때 왕세자가 결국 통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땅의 고토에서 태어났다고 공개적으로 선언되었다.[17]
페타르 1세 (1918년 - 1921년)는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의 건국과 함께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알렉산다르 1세 (1891년 - 1934년)는 1921년부터 1929년까지 페타르 1세의 아들로서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의 국왕으로 재위 하였으며, 1929년부터 1934년까지는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하고 독재자로 행동하다 암살당했다.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Павле Карађорђевић)(1893년 - 1976년)는 알렉산다르 1세의 사촌 동생으로, 어린 페타르 2세를 대신하여 1934년부터 1941년까지 섭정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추축국 편에 서려고 했으나, 페타르 국왕이 주도한 쿠데타로 섭정직에서 물러났다.
페타르 2세(Петар II)(1923년 - 1970년)는 1934년부터 1945년까지 알렉산다르 1세의 아들로 유고슬라비아 국왕으로 재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편에 서려고 하였으나 독일군의 침략을 받고 해외로 망명했다. 전후, 공화제로 이행됨에 따라 폐위되었고 미국에서 사망했다.
알렉산다르 2세 카라조르제비치(Александар II Карађорђевић)(1945년 - )는 페타르 2세의 아들로 망명지 런던에서 태어났다.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왕위 계승법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영토 내에서 태어난 자에게만 왕위 계승권을 인정한다고 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국 정부가 특별 조치로 왕비 알렉산드라가 출산에 사용한 방(클래리지스 호텔 212호실)을 출산 당일만 유고슬라비아 영토로 할양했다는 일화가 남아있다. 아버지의 죽음 후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가주가 되어 알렉산다르 2세를 자칭한다. 2001년 유고슬라비아 체제 변혁에 따라 귀국하여 몰수되었던 왕실 재산의 반환을 받고 옛 왕궁에 거주하고 있다. 참고로 현재도 유고슬라비아 왕국 및 세르비아 왕국의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도 "황태자 전하"가 공식 칭호이다.
3. 1. 세르비아 봉기 (1804-1813)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처음에는 세르비아 왕가였고, 그 다음에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가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유고슬라비아 왕가였다. 유고슬라비아 왕가로 불렸을 때 그들이 마지막으로 통치했다.[17]알렉산다르 왕세자는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정부가 일시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관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영토에서 태어났다. 이때 왕세자가 결국 통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땅의 고토에서 태어났다고 공개적으로 선언되었다.[17]
3. 2. 세르비아 공국 (1842-1858)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처음에는 세르비아 왕가였고, 그 다음에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가,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유고슬라비아 왕가였다. 그들이 마지막으로 통치했을 때 그들은 유고슬라비아 왕가로 불렸다.
알렉산다르 왕세자는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정부가 일시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관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영토에서 태어났다. 이때 왕세자가 결국 통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땅의 고토에서 태어났다고 공개적으로 선언되었다.[17]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1806년 - 1885년) 재위(1842년 - 1858년)
:카라조르제의 아들. 세르비아 공.
3. 3. 세르비아 왕국 (1903-1918)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처음에는 세르비아 왕가였고, 그 다음에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가,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유고슬라비아 왕가였다. 그들이 마지막으로 통치했을 때 그들은 유고슬라비아 왕가로 불렸다.[17]페타르 1세 (1844년 - 1921년)는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의 아들로 1903년부터 1918년까지 세르비아 국왕으로 재위하였다. 알렉산다르 왕세자는 런던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정부가 일시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관의 주권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한 영토에서 태어났다. 이때 왕세자가 결국 통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땅의 고토에서 태어났다고 공개적으로 선언되었다.[17]
3. 4. 유고슬라비아 왕국 (1918-1945)
: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의 건국과 함께 국왕으로 추대됨.
: 페타르 1세의 아들.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의 국왕.
: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했다. 독재자로서 행동하다 암살당했다.
: 알렉산다르 1세의 아들. 유고슬라비아 국왕.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편에 서려고 하였으나 독일군의 침략을 받고 해외로 망명했다. 전후, 공화제로 이행됨에 따라 폐위되었고 미국에서 사망했다.
-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Павле Карађорђевић)(1893년 - 1976년)
: 알렉산다르 1세의 사촌 동생. 어린 페타르 2세를 대신하여 섭정을 역임했다(1934년-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추축국 편에 서려고 했으나, 페타르 국왕이 주도한 쿠데타로 섭정직에서 물러났다.
- 알렉산다르 2세 카라조르제비치(Александар II Карађорђевић)(1945년 - )
: 페타르 2세의 아들. 망명지 런던에서 태어났다.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왕위 계승법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영토 내에서 태어난 자에게만 왕위 계승권을 인정한다고 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국 정부가 특별 조치로 왕비 알렉산드라가 출산에 사용한 방(클래리지스 호텔 212호실)을 출산 당일만 유고슬라비아 영토로 할양했다는 일화가 남아있다. 아버지의 죽음 후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가주가 되어 알렉산다르 2세를 자칭한다. 2001년 유고슬라비아 체제 변혁에 따라 귀국하여 몰수되었던 왕실 재산의 반환을 받고 옛 왕궁에 거주하고 있다. 참고로 현재도 유고슬라비아 왕국 및 세르비아 왕국의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도 "황태자 전하"가 공식 칭호이다.
3. 4. 1.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의 섭정 (1934-1941)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Павле Карађорђевић)는 1893년부터 1976년까지 살았으며, 알렉산다르 1세의 사촌 동생이다. 어린 페타르 2세를 대신하여 1934년부터 1941년까지 섭정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추축국 편에 서려고 했으나, 페타르 국왕이 주도한 쿠데타로 섭정직에서 물러났다.4. 왕정 폐지 이후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여러 방면에서 세르비아 사회에 활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헌법적 입헌군주제가 세르비아의 안정, 통합, 그리고 연속성에 있어 최종적인 해결책이라는 견해가 있다. 또한, 왕가는 유럽 연합의 미래를 가진 민주적인 국가로서의 세르비아를 지지한다.
알렉산데르는 2001년부터 베오그라드의 데디네 왕궁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퇴위하지 않은 마지막 국왕 페타르 2세의 외아들이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공식 상속인으로서, 왕정 복고 시 세르비아 왕위 계승권자가 자신이라고 주장한다.[13][14] 알렉산데르는 왕궁에서 종교 지도자들을 정기적으로 접견하고, 기회가 허락될 때마다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헌신을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왕가는 또한 인도주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카타리나 왕세자빈은 인도주의 재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알렉산데르 왕세자는 문화 및 교육 재단을 이끌고 있는데, 이 재단의 활동에는 장학금 지원과 어린이 여름 캠프 등이 포함된다.
2022년 4월 27일,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는 자신과 그의 후손들을 위해 세습 왕자의 칭호를 포기했고, 그의 남동생 필립 왕자가 그의 아버지의 직계 상속인이 되었다. 이 의식은 스페인 세비야의 카사 데 필라토스에서 거행되었다. 이 자리에는 페타르와 필립의 어머니인 오를레앙-브라간사 공작부인 마리아 다 글로리아 공주와 의붓아버지 19대 세고르베 공작 이냐시오, 필립의 아내 다니카 왕세자빈, 그들의 이복자매인 솔, 암푸리아스 백작부인, 카라조르제비치 왕가의 훈장과 문장관인 왕실 평의회 회원 류보드라그 그루이치, 그리고 왕세자의 참모총장 니콜라 스탄코비치가 참석했다.[15][16]
사진 | 이름 | 출생 | 재임 기간 | 결혼 및 자녀 | 사망 | 주장 |
---|---|---|---|---|---|---|
![]() | 페타르 2세 | 1923년 9월 6일 벨그라드,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 | 1945년 11월 29일 – 1970년 11월 3일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1944년 3월 20일 아들 1명 | 1970년 11월 3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향년 47세) | 유고슬라비아의 폐위된 국왕 |
![]() | 알렉산데르 왕세자 (알렉산데르 2세) | 1945년 7월 17일 클래리지스, 메이페어, 런던 (향년 78세) | 1970년 11월 3일 – 현재 | 오를레앙-브라간사의 마리아 다 글로리아 1972년 7월 1일 – 1985년 2월 19일 아들 3명 카타리나 바티스 1985년 9월 20일 자녀 없음 | 페타르 2세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아들 | |
;계승자 목록
- 알렉산데르 왕세자 (1945년 11월 29일 – 1970년 11월 3일), 페타르 2세 국왕의 아들
- 토미슬라브 왕자 (1970년 11월 3일 – 1980년 2월 5일), 알렉산데르 1세 국왕의 차남
- 페타르 왕자 (1980년 2월 5일 – 2022년 4월 27일), 알렉산데르 왕세자의 장남
- 필립 왕세자 (2022년 4월 27일 – 현재), 알렉산데르 왕세자의 차남
4. 1.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현재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여러 방면에서 세르비아 사회에 활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헌법적 입헌군주제가 세르비아의 안정, 통합, 그리고 연속성에 있어 최종적인 해결책이라는 견해가 있다. 또한, 왕가는 유럽 연합의 미래를 가진 민주적인 국가로서의 세르비아를 지지한다.유고슬라비아의 마지막 왕세자였던 알렉산데르는 2001년부터 베오그라드의 데디네 왕궁에 거주하고 있다. 그는 퇴위하지 않은 마지막 국왕 페타르 2세의 외아들이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공식 상속인으로서, 왕정 복고 시 세르비아 왕위 계승권자가 자신이라고 주장한다.[13][14] 알렉산데르는 왕궁에서 종교 지도자들을 정기적으로 접견하고, 기회가 허락될 때마다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헌신을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왕가는 또한 인도주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카타리나 왕세자빈은 인도주의 재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알렉산데르 왕세자는 문화 및 교육 재단을 이끌고 있는데, 이 재단의 활동에는 장학금 지원과 어린이 여름 캠프 등이 포함된다.
2022년 4월 27일,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는 자신과 그의 후손들을 위해 세습 왕자의 칭호를 포기했고, 그의 남동생 필립 왕자가 그의 아버지의 직계 상속인이 되었다. 이 의식은 스페인 세비야의 카사 데 필라토스에서 거행되었다. 이 자리에는 페타르와 필립의 어머니인 오를레앙-브라간사 공작부인 마리아 다 글로리아 공주와 의붓아버지 19대 세고르베 공작 이냐시오, 필립의 아내 다니카 왕세자빈, 그들의 이복자매인 솔, 암푸리아스 백작부인, 카라조르제비치 왕가의 훈장과 문장관인 왕실 평의회 회원 류보드라그 그루이치, 그리고 왕세자의 참모총장 니콜라 스탄코비치가 참석했다.[15][16]
사진 | 이름 | 출생 | 재임 기간 | 결혼 및 자녀 | 사망 | 주장 |
---|---|---|---|---|---|---|
페타르 2세 | 1923년 9월 6일 벨그라드,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 | 1945년 11월 29일 – 1970년 11월 3일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1944년 3월 20일 아들 1명 | 1970년 11월 3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향년 47세) | 유고슬라비아의 폐위된 국왕 | |
알렉산데르 왕세자 (알렉산데르 2세) | 1945년 7월 17일 클래리지스, 메이페어, 런던 (향년 78세) | 1970년 11월 3일 – 현재 | 오를레앙-브라간사의 마리아 다 글로리아 1972년 7월 1일 – 1985년 2월 19일 아들 3명 카타리나 바티스 1985년 9월 20일 자녀 없음 | 페타르 2세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아들 | ||
;계승자 목록
- 알렉산데르 왕세자 (1945년 11월 29일 – 1970년 11월 3일), 페타르 2세 국왕의 아들
- 토미슬라브 왕자 (1970년 11월 3일 – 1980년 2월 5일), 알렉산데르 1세 국왕의 차남
- 페타르 왕자 (1980년 2월 5일 – 2022년 4월 27일), 알렉산데르 왕세자의 장남
- 필립 왕세자 (2022년 4월 27일 – 현재), 알렉산데르 왕세자의 차남
4. 1. 1. 왕위 계승 분쟁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에 제공된 내용이 없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왕위 계승 분쟁'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5. 카라조르제비치 가계도
대지도자 카라조르제 (1768–1817)의 아들 알렉산다르 왕자 (1806–1885)는 세르비아 공이었다.[18] 페타르 1세 (1844–1921)는 세르비아 왕이자 유고슬라비아 왕이었다.[18] 그의 아들 알렉산다르 1세 (1888–1934)는 유고슬라비아 왕이었다.[18] 알렉산다르 1세의 아들 페타르 2세 (1923–1970)는 유고슬라비아 왕이었다.[18] 페타르 2세의 아들 알렉산다르 왕세자 (1945년생)는 현재 왕가의 수장이다.[18]
알렉산다르 왕세자의 아들로는 페타르 왕자 (1980년생), 필립 왕세자 (1982년생), 알렉산다르 왕자 (1982년생)가 있다.[18] 필립 왕세자의 아들 스테판 왕자 (2018년생)가 있다.[18]
알렉산다르 1세의 다른 아들 토미슬라브 왕자 (1928–2000)는 니콜라 왕자 (1958년생), 조지 왕자 (1984년생), 마이클 왕자 (1985년생)를 두었다.[18] 알렉산다르 1세의 또 다른 아들 앤드류 왕자 (1929–1990)는 ''크리스토퍼 왕자'' (1960–1994), 블라디미르 왕자 (1964년생), 디미트리 왕자 (1965년생)를 두었다.[18] 블라디미르 왕자는 ''키릴 왕자'' (2001–2001)를 두었다.[18]
아르센 왕자 (1859–1938)의 아들 폴 왕자 (1893–1976)는 알렉산다르 왕자 (1924–2016)와 니콜라 왕자 (1928–1954)를 두었다.[18] 알렉산다르 왕자는 디미트리 왕자 (1958년생), 마이클 왕자 (1958년생), 세르기우스 왕자 (1963년생), 두샨 왕자 (1977년생)를 두었다.[18] 세르기우스 왕자는 (사생아) 움베르토 (2018년생)를 두었다.[18]
2022년 4월 기준 왕위 계승 순서는 공식적인 것이 아니며, 필립 왕세자 (1982년생)가 1순위, 스테판 왕자 (2018년생)가 2순위, 알렉산다르 왕자 (1982년생)가 3순위이다.[19]
카라조르제 가계도 | |
---|---|
대지도자 카라조르제 | 알렉산다르 왕자 |
페타르 1세 | 알렉산다르 1세 |
페타르 2세 | 알렉산다르 왕세자 |
페타르 왕자 | 필립 왕세자 |
스테판 왕자 | 알렉산다르 왕자 |
6.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의 군주 목록
사진 | 직위 이름 | 출생 | 재위 기간 | 배우자 | 사망 | 주장 | 비고 |
---|---|---|---|---|---|---|---|
![]() | 세르비아 대보즈드 카라조르제 | 비셰바츠, 스메데레보 산자크, 루멜리아 에얄레트, 오스만 제국 | 1804년 2월 15일 1813년 9월 21일 () | 예레나 요바노비치 | 라도바녜 숲, 스메데레보 산자크, 루멜리아 에얄레트, 오스만 제국 (48세) |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지도자 | 폐위되어 오스트리아로 망명. |
동안 권좌에서 물러남. | |||||||
![]() | 세르비아 공작 알렉산다르 | 1806년 10월 11일 토폴라, 세르비아 혁명 | 1842년 9월 14일 1858년 12월 23일 () | 페르시다 네나도비치 | 1885년 5월 3일 티미쇼아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78세) | 국민의회에서 선출.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와 예레나 요바노비치의 아들 | 퇴위. |
동안 권좌에서 물러남. | |||||||
![]() | 세르비아 국왕;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국왕 페타르 1세 | 벨그라드, 세르비아 | 1903년 6월 15일 1921년 8월 16일 () | 몬테네그로의 조르카 | 1921년 8월 16일 벨그라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77세) | 국민의회에서 선출. 알렉산다르와 페르시다 네나도비치의 아들 | 세르비아 전역으로 인해 1915년 11월 망명. 1918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국왕으로 선포. |
![]() |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의 국왕;유고슬라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1세 | 1888년 12월 16일 체티녜, 몬테네그로 | 1921년 8월 16일 1934년 10월 9일 () | 루마니아의 마리아 | 1934년 10월 9일 마르세이유, 프랑스 (45세) | 페타르 1세와 몬테네그로의 조르카의 아들 | 1929년 칭호를 "유고슬라비아 국왕"으로 변경.마르세이유에서 암살됨. |
![]() | 유고슬라비아 섭정 파울 | 1893년 4월 27일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1934년 10월 9일 1941년 3월 27일 () | 그리스와 덴마크의 올가 | 1976년 9월 14일 파리, 프랑스 (83세) | 알렉산다르 1세의 유언 | 1941년 3월 쿠데타로 축출될 때까지 페타르 2세를 위해 섭정으로 활동. |
![]() | 유고슬라비아 국왕 페타르 2세 | 1923년 9월 6일 벨그라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 | 1934년 10월 9일 1945년 11월 29일 ()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 1970년 11월 3일 덴버, 콜로라도, 미국 (47세) | 알렉산다르 1세와 루마니아의 마리아의 아들 | |
1941년 4월 망명, 1945년 폐위. |
7. 1945년 이후 가문의 수장
카라조르제비치 왕가는 세르비아 사회의 여러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왕가는 유럽 연합유럽 연합의 미래를 가진 민주적인 국가로서의 세르비아세르비아를 지지한다.[13][14] 세르비아의 안정, 통합, 그리고 연속성에 있어 헌법적 입헌군주제가 최종적인 해결책이라는 견해가 있다.
알렉산데르는 2001년부터 데디네 왕궁에 거주하고 있다.[13][14] 그는 페타르 2세의 외아들이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마지막 공식 상속인으로서, 왕정 복고 시 세르비아 왕위 계승권자가 자신이라고 주장한다.[13][14] 알렉산데르는 왕궁에서 종교 지도자들을 정기적으로 접견하고,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헌신을 보여주려고 노력하며 왕가는 인도주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22년 4월 27일,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는 자신과 그의 후손들을 위해 세습 왕자세습 왕자의 칭호를 포기했고, 그의 남동생 필립 왕자가 그의 아버지의 직계 상속인이 되었다. 이 의식은 세비야의 카사 데 필라토스에서 거행되었다.[15][16]
사진 | 이름 | 출생 | 재임 기간 | 결혼 및 자녀 | 사망 | 주장 |
---|---|---|---|---|---|---|
페타르 2세 | 1923년 9월 6일 벨그라드,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 | 1945년 11월 29일 – 1970년 11월 3일 |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1944년 3월 20일 아들 1명 | 1970년 11월 3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향년 47세) | 유고슬라비아의 폐위된 국왕 | |
알렉산데르 왕세자 (알렉산데르 2세) | 1945년 7월 17일 클래리지스, 메이페어, 런던 | 1970년 11월 3일 – 현재 | 오를레앙-브라간사의 마리아 다 글로리아 1972년 7월 1일 – 1985년 2월 19일 아들 3명 카타리나 바티스 1985년 9월 20일 자녀 없음 | 페타르 2세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아들 |
;계승자 목록
- 알렉산데르 왕세자 (1945년 11월 29일 – 1970년 11월 3일), 페타르 2세 국왕의 아들
- 토미슬라브 왕자 (1970년 11월 3일 – 1980년 2월 5일), 알렉산데르 1세 국왕의 차남
- 페타르 왕자 (1980년 2월 5일 – 2022년 4월 27일), 알렉산데르 왕세자의 장남
- 필립 왕세자 (2022년 4월 27일 – 현재), 알렉산데르 왕세자의 차남
참조
[1]
뉴스
Pastir u najmu
http://www.novosti.r[...]
[2]
서적
Srpski književni glasnik, Volumes 35–36
[3]
서적
Pleme Vasojevići
Državna Štampa u Sarajevu
[4]
서적
(제목 없음)
[5]
간행물
Karađorđevi preci knezovi VOJINOVIĆI
http://www.srpsko-na[...]
[6]
뉴스
MISTERIJA SLAVE KARAĐORĐEVIĆA: Evo kojim svecima su se molili preci Karađorđa!
http://www.telegraf.[...]
2014-12-13
[7]
뉴스
Čuvaju slavu velikog vožda
http://www.vesti-onl[...]
2014-12-13
[8]
웹사이트
Karađorđevići porijeklom iz Vasojevića
http://mojenovosti.c[...]
[9]
웹사이트
Надимци старих Београђана – Politikin Zabavnik
http://politikin-zab[...]
[10]
서적
Pregled, Volume 9
Nova tiskara Vrček i dr.
[11]
웹사이트
Његово мишљење је почетком прошлог века прихватио и историчар Вукићевић, прилажући као доказ диплому коју је 1840. године владика црногорски Петар II Петровић Његош издао Вождовом сину Александру Карађорђевићу, у којој се каже да Вожд потиче од "древних кнезова наше провинције Васојевића"
http://www.politika.[...]
2012-11-25
[12]
서적
(제목 없음)
[13]
뉴스
Kings Try for Comeback
https://web.archive.[...]
San Francisco Chronicle
1997-06-27
[14]
뉴스
Serbian Orthodox Leader Calls For Monarchy To Be Reintroduced
https://web.archive.[...]
Ecumenical News International
2003-12-08
[15]
웹사이트
Crown Prince Petar Karađorđević Abdicates In Favour Of Prince Philip
https://cordmagazine[...]
2022-04-29
[16]
웹사이트
Princ Petar saopštio da je abdicirao u korist brata Filipa
https://www.danas.rs[...]
2022-04-28
[17]
뉴스
Crown Prince Alexander II: the man who would be king of Serbia
https://www.telegrap[...]
null
[18]
웹사이트
Enlarged Family Tree – RFS
https://royalfamily.[...]
[19]
웹사이트
Order of line of Succession – RFS
https://royalfami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